Investor's wiki

필립스 곡선

필립스 곡선

필립스 곡선이란 무엇입니까?

필립스 곡선은 A. W. Phillips가 개발한 경제 개념으로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은 안정적이고 반비례적인 관계가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 이론은 경제 성장 과 함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더 많은 일자리와 더 적은 실업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1970년대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이 모두 높았던 스태그플레이션 으로 인해 원래의 개념은 실증적으로 다소 반증 되었다.

필립스 곡선 이해하기

필립스 곡선 이면의 개념은 경제 내 실업의 변화가 물가 인플레이션 에 예측 가능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합니다.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사이의 역 관계는 Y축에 인플레이션이 있고 X축에 실업이 있는 우하향하는 오목 곡선으로 묘사됩니다. 인플레이션이 증가하면 실업률 이 감소 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또는 실업률 감소에 초점을 맞추면 인플레이션도 증가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1960년대에는 어떤 재정 부양책도 총수요 를 증가 시키고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일으킬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노동 수요가 증가하고 실업자 풀이 감소하며 기업은 경쟁하고 더 작은 인재 풀을 유치하기 위해 임금을 인상합니다. 기업의 임금 비용이 증가하고 기업은 이러한 비용을 가격 인상의 형태로 소비자에게 전가합니다.

율 을 설정하고 목표율을 달성하기 위해 경제를 확장하거나 축소하기 위해 재정 및 통화 정책 을 사용 하는 "스톱-고(stop-go)" 전략을 채택하게 했습니다 . 그러나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이 대두되면서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의 안정적인 균형이 깨지면서 필립스 곡선의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2020년 8월 27일,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 실업률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기 때문에 더 이상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인플레이션 목표를 평균으로 변경했는데, 이는 인플레이션이 2% 미만이었던 기간을 보충하기 위해 2% 목표보다 약간 높게 상승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필립스 곡선과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 성장이 정체되고 실업률이 높고 물가가 높을 때 발생합니다. 물론 이 시나리오는 필립스 곡선 이면의 이론과 직접적으로 모순됩니다. 미국은 1970년대까지 스태그플레이션을 경험한 적이 없었습니다. 당시에는 실업률 증가와 인플레이션 감소가 일치하지 않았습니다. 1973년에서 1975년 사이에 미국 경제는 6분기 연속 GDP 하락을 기록했으며 동시에 인플레이션은 3배 증가했습니다.

기대치와 장기 필립스 곡선

스태그플레이션 현상과 필립스 곡선의 붕괴로 인해 경제학자들은 실업과 인플레이션 사이의 관계에서 기대의 역할을 더 깊이 조사하게 되었습니다. 근로자와 소비자는 현재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을 기반으로 미래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사이의 역관계는 단기적으로만 유지될 수 있습니다.

중앙은행이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인플레이션을 높이면 단기 필립스 곡선을 따라 초기 이동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한 근로자와 소비자의 기대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함에 따라 장기적으로 필립스 곡선 스스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경제의 마찰적 및 제도적 실업의 정상적인 비율을 나타내는 자연 실업률 또는 NAIRU(비 가속 인플레이션율) 주변 의 경우로 특히 생각됩니다 . 따라서 장기적으로 기대치가 인플레이션율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면 장기 필립스 곡선은 NAIRU에서 수직선과 유사합니다. 통화 정책은 단순히 인플레이션율을 높이거나 낮춥니다. 애프터마켓 기대치는 저절로 해결되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시대에 노동자와 소비자는 통화당국이 확장적 통화정책에 착수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순간 물가상승 을 합리적으로 기대 하기 시작하기도 한다. 이는 확장적 통화정책이 시행되기 전에도 단기 필립스곡선을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단기적으로도 실업률을 낮추는 효과가 거의 없고 사실상 단기 필립스곡선이 NAIRU에서도 수직선이 됩니다.

##하이라이트

  • 필립스 곡선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역의 관계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인플레이션이 높으면 실업률이 낮아지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 필립스곡선은 20세기 거시경제정책의 방향으로 사용되었던 개념이었으나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인해 의문시됨.

  • 소비자와 근로자의 기대에 비추어 필립스 곡선을 이해하면 인플레이션과 실업 사이의 관계가 장기적으로 또는 단기적으로도 유지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